본문 바로가기
[도서추천]_부자 마인드셋

도서추천 [내 인생 구하기] 기억할 3가지, 독서계기, 저자소개, 내용소개, 느낀점

by 머니코치 신머니 2023. 2. 4.

안녕하세요. 부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 성공 마인드셋을 위한 독서 추천. 오늘의 도서는 개리비숍의 ’’ 내 인생 구하기입니다. 삶을 무기력하게 흘려보내고 있는 방관주의자를 위한 개입의 기술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 계발 분야의 유명한 작가 개리비숍의 내 인생 구하기에 대해 33분 만에 읽은 것처럼 기억할 3가지와 함께 서평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내-인생-구하기-표지
내인생 구하기 표지

1. 내 인생 구하기를 읽고 반드시 기억해야 할 3가지. (다음 문장들에 대해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자신, 타인, 인생 세 가지가 합쳐져서 당신의 잠재력을 짓누르게 된다.

우리는 내가 그런 척하는 대로 된다. 그러니 어떤 척을 할지 신중해야 한다.

당신이 살아 있다고 느꼈던 순간을 철저히 점검해 보는 수밖에 없다.

당신의 지금 모습을 봐라. 당신은 지금 인생에 무슨 짓을 해왔는지 두 눈 뜨고 똑바로 봐야 한다.

2. 책을 읽었던 계기

자기 계발 분야의 책들을 읽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책과 저자들이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였던 개리비숍의 내 인생 구하기.. 서점에서 책을 펼치고 처음 나오는 저자의 말에 홀린 듯 바로 빠져들었습니다. “내 목표는 딱 한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바로 당신.” 이 문구에서 내 삶을 무기력하게 방관하고 있는 게 바로 나 자신 아닌가 라는 생각이 스쳤습니다. 과연 저자가 어떤 방법으로 내 무기력한 인생에 관여할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리고 나 스스로의 문제와, 그 해답또한 나에게 있다는 말에 이 책을 읽어보기로 결심했습니다.

3. 개리비숍에 대해서

저자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나고 자랐으며 1997년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 자기계발 코치로서는 독특하게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와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에드문트 후설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세계관을 구축했습니다. 평범했던 사람에서 이제는 세계 각지를 다니며 아일랜드에서는 가톨릭 신부를, 태국에서는 불교 승려를 코칭하는 독보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또한 삶의 진정한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휘하도록 돕는 일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스스로를 고장 난 의자 같은 조재로 여기지 마라. 과거는 과거로 둔 채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라는 메시지로 자기 확신이 없는 사람을 독려하고, 오랫동안 마음속으로만 원하고 이루지 못한 것들에 대해 변화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합니다.

4. 독서 후 느낀 점

이 책을 읽으면서 챕터별로 생각을 해보았던 부분이 있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 짧게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내 목표는 딱 한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바로 당신. 스스로의 기원을 이해면 인생의 향방을 바꿀 확률도 커진다고 저자는 말하는데 이 부분에서 저자는 스스로에게 물어볼 질문을 합니다. 다음으로는 변화하고 싶지만 끝까지 내가 변하지 못하도록 막는 존재가 있습니다. 그 존재는 바로 다름 아닌 ’나‘ ’나‘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우리는 모두 책을 읽거나 여러 매스컴을 통해서든 우리가 뭘 해야 할지 뭘 그만해야 할지 이미 수없이 듣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참거나, 해야 할 것은 행동하거나 하지 않습니다. 결국 나를 방해하는 것은 나입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생각이 많이 필요한 시대에 생각을 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고 느껴집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들도 스스로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진정한 생각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가 생각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이러한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대답하는 방법으로 잠재의식 속에서 동기를 발견하고 변화된 삶을 살아가길 다짐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타인에 대한 생각입니다. 마음속으로 누군가를 원망하거나 미워하지 않겠다고 매번 다짐했지만 그러지 못했던 적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결국 나 스스로를 갉아먹는 행동입니다. 이러한 부분은 클루지라고 생각하고 고쳐야겠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말하는 본질이 바로 이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