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신머니입니다. 지난번 [머니트렌드 2023]을 독서하며 알게 된 노후생활이 걱정될 때 알아볼만한 가치가 있는 주택연금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부부 중 한 명이 만 55세 이상이고, 부부합산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주택을 소유하신 분이라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혹시라도 인터넷 정보에 신뢰가 없으실 분들을 위해 관련 근거에 대해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1. 주택연금의 설치목적 및 운영근거
주택연금은 55세 이상 어르신들의 주거안정(종신거주)과 노후소득 보장(종신연금)을 동시에 달성함으로 국민의 복지증진과 국민경제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법」 제1조 및 동법 시행령 제3조의 2 제2항)
이렇게 법률에 근거한 주택담보노후연금보증 계정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이제 좀 알아보실 마음이 생기셨을까요? 본격적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주택연금의 지급 구조
간략하게 3단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가입자(신청인)가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보증신청
-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보증심사에 따라 금융기관에 보증서를 발급
- 이후 금융기관에서는 가입자에게 대출방식으로 주택연금을 지급. 쉽게 말해 '내가 살고 있는 이 주택을 담보로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보증을 받아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방식의 연금을 받는 것'입니다.
3. 장점과 단점은?
주택연금의 장점은 무엇보다 국가가 지급을 보증하기 때문에 중단의 위험이 없다는 것입니다.「한국주택금융공사법」 제2조 제8호의 2 이 외에도 평생거주, 평생지급이라는 점, 합리적인 상속(연금수령액이 집값을 초과한다고 하더라도 부족분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고, 집값에 부족한 연금수령액 또한 상속인에게 지급)입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단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가입 시 집값은 변동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가입 이후 상승한 집값이 반영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 때문에 고민해 보실 부분이 분명 있으실 겁니다. 어떤 것이 더 좋은지는 각자의 상황에 맞게 고려해보셔야 합니다.
4. 연금은 얼마일까?
(50세 기준 1억 원 주택소유 시 123,000원부터 80세 기준 12억 원 주택소유 시 3,302,000원입니다.)
※아래 이미지 예시는 70세 기준 3억 원 주택소유 시 926,000원 지급
5. 이 글을 읽으신 분들께 말씀드리고 싶은 게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신 분들 모두 본인 혹은 부모님의 노후를 걱정하고 계십니다. 부모님의 입장이신 분들께서는 그동안의 자녀들의 뒷바라지에 너무 많은 희생을 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려줄 것이 집 밖에 없다는 생각에 무조건 고민조차 하지 않는 분들 계실 겁니다. 하지만, 은퇴 후의 삶은, 이제는 조금은 편하게 살아가셨으면 합니다. 또한, 부모님의 노후를 걱정하는 자녀분들께서도 부모님의 그동안의 삶과 남은 여생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이길 바라며 이상 글을 마칩니다.
'[머니창고]_돈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르면 손해 퇴직금과 퇴직연금(DB,DC,IRP)완벽정리 (1) | 2023.03.11 |
---|---|
청년내일저축계좌 한번에 정리하기(5월 신청 예정) (2) | 2023.03.06 |
청년도약계좌 내용 정리(2023년 6월 예정) (4) | 2023.03.05 |
2023년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초간단 정리 (4) | 2023.03.04 |
[재정지원일자리] 60대 일자리 내용정리 (0) | 2023.02.08 |
댓글